Tope's Cytoplasm

where I store my intellectual metabolites…

and whatever :)

헴펠의 역설 (Hempel's Paradox)

머리말 이글에서는 헴펠의 역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 헴펠의 역설에 따르면 ‘모든 까마귀는 까맣다’라는 명제를 ‘초록색 사과’가 입증합니다!!

Global CO2 Emission Plot - Interactive plot with {plotly}

As part of the tidytuesday challenge a few months ago (2024-05-21), I made an interactive line plot showing the amount of emitted carbon by major oil, gas, coal, and cement producers. One can get their cursor on a line to see how much carbon was emitted in the year, by type of commodities. Although some time has passed since this challenge was p...

[NHST] 4장. NHST에 대한 오해와 물음들

지금까지 빈도주의 검정에서 사용되는 개념, 방법, $p$ 값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. 이번 장에서는 NHST에 관해 우리가 흔히 갖는 오해를 정리해보겠습니다. 특히 $p$ 값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겠습니다.

[NHST] 3장. p-value를 제대로 보고하기

검정에서 얻은 $p$ 값을 그대로 보고할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. 왜일까요? 네이만과 피어슨에 따르면, $\alpha$와 검정력을 사전에 정한 검정은 의사결정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던가요? $p<\alpha$인지, 그래서 영가설이 기각되는지만 보고하면 되는 것이 아니었나요? 이번 장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. $p$ 값을 그대로 보고해야 하는 이유를 검정의 쓰임새와 검정의 의미를 중심으로 알아볼 것입니다.